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배열추가
- useState
- 이스케이프시퀀스
- barplot in r
- 이용현황분석
- 백준 10172
- 탈출문자
- setstate
- plot in r
- getline
- 10172
- vetor
- 광명시버스분석
- await
- 배열삭제
- asynchronization
- 백준 11718
- R 그래프
- React
- react #회원가입 #비밀번호비교
- 그래픽
- 데이터분석
- barplot
- DataFrame
- 그대로 출력하기
- 값추가
- 백준
- R데이터형태
- 값삭제
- 버스분석
- Today
- Total
devlog_zz
R 그래프 기초1 - plot() 본문
plot() 함수
인 수 | 설 명 |
main = "메인 제목" | 제목 설정 |
sub = "서브 제목" | 서브 제목 |
xlab = "문자", ylab = "문자" | x, y축에 사용할 문자열을 지정합니다. |
ann=F | x, y축 제목을 지정하지 않습니다. |
tmag=2 | 제목 등에 사용되는 문자의 확대율 지정 |
axes=F | x, y축을 표시하지 않습니다. |
axis | x, y축을 사용자의 지정값으로 표시합니다. |
그래프 타입 선택 | |
type="p" | 점 모양 그래프 (기본값) |
type="l" | 선 모양 그래프 (꺾은선 그래프) |
type="b" | 점과 선 모양 그래프 |
type="c" | "b"에서 점을 생략한 모양 |
type="o" | 점과 선을 중첩해서 그린 그래프 |
type="h" | 각 점에서 x축 까지의 수직선 그래프 |
type="s" | 왼쪽값을 기초로 계단모양으로 연결한 그래프 |
type="S" | 오른쪽 값을 기초로 계단모양으로 연결한 그래프 |
type="n" | 축 만 그리고 그래프는 그리지 않습니다. |
선의 모양 선택 | |
lty=0, lty="blank" | 투명선 |
lty=1, lty="solid" | 실선 |
lty=2, lty="dashed" | 대쉬선 |
lty=3, lty="dotted" | 점선 |
lty=4, lty="dotdash" | 점선과 대쉬선 |
lty=5, lty="longdash" | 긴 대쉬선 |
lty=6, lty="twodash" | 2개의 대쉬선 |
색, 기호 등 | |
col=1, col="blue" | 기호의 색지정, 1-검정, 2-빨강, 3-초록, 4-파랑, 5-연파랑, 6-보라, 7-노랑, 8-회색 |
pch=0, pch="문자" | 점의 모양을 지정합니다 |
bg="blue" | 그래프의 배경색 지정 |
lwd="숫자" | 선을 그릴 때 선의 굵기를 지정 |
cex="숫자" | 점이나 문자를 그릴 때 점이나 문자의 굵기를 지정 |
1) 기본 값으로 그래프 만들기
var1 변수에 1,2,3,4,5 값을 넣고 그래프 그리기
var1 변수에 담긴 값이 y축 값으로 사용된다
x값을 안주면 자동으로 y값의 개수만큼 x값이 1,2,3,4,5로 설정된다.
2) y축 값을 동일하게 설정하였을 때
x값은 자동으로 1,2,3 증가됨
3) x,y 값 지정하여 출력 , 축 범위 , 축 제목 , 그래프 제목 지정
xlim, ylim : 축의 범위 지정
xlab, ylab : 축 제목 지정
main : 전체 그래프 제목 지정
4) 그래프 응용
v1 <- c(100,130,120,160,150)
plot(v1,type='o',col='red',ylim=c(0,200),axes=F,ann=F) # axes=F : 축 표시 안함, ann = F : 축 제목 지정 안함
axis(1,at=1:5,lab=c("MON","TUE","WED","THU","FRI")) # 아래쪽
axis(2,ylim=c(0,200)) # 왼쪽
title(main="FRUIT",col.main="red",font.main=4)
title(xlab="DAY",col.lab="black")
title(ylab="PRICE",col.lab="black")
axes=F : 축 표시 안함, ann = F : 축 제목 지정 안함
axis () 옵션
arguments | description |
side | 그래프의 어느 쪽에 축을 그릴지 지정하는 정수 (an integer specifying which side of the plot the axis is to be drawn on) 1 = 아래쪽 (below side) |
at | 축의 눈금이 그려질 곳의 위치를 지정하는 점들 (the points at which tick-marks are to be drawn) |
labels | 축 눈금에 라벨 데이터를 입력하는 숫자형 벡터, 혹은 문자형 벡터 (numerical or a character or expression vector of labels to be placed at the tick-points) |
tick | 축의 눈금과 축의 선을 그릴지를 설정하는 논리형 값 (a logical value specifying whether tickmarks and an axis line should be drawn) |
pos | 해당 축이 다른 축과 교차하는 좌표 (the coordinate at which the axis line is to be drawn) |
lty | 축과 눈금의 선의 유형 (line type for both the axis line and the tick marks) |
lwd | 축의 눈금의 선의 두께 (line widths for the axis line and the tick marks) |
col | 축과 눈금 선의 색깔 (colors for the axis line and the tick marks respectively) |
tck | 눈금의 방향과 길이 설정 (direction and length of tick marks) - 양수 : 그래프 안쪽으로 눈금 생성 - 음수 : 그래프 바깥쪽으로 눈금 생성 |
hadj | 수평 라벨에 대한 수정 (adjustment for all labels parallel (‘horizontal’) to the reading direction) |
padj | 수직 라벨에 대한 수정 (adjustment for each tick label perpendicular to the reading direction) |
v1 <- 5:1
v2 <- 1:5
v3 <- 3:7
plot(v1,type='s',col='red',ylim=c(1,10))
par(new=T) # 중복 허용
lines(v2,type='o',col='blue',ylim=c(1,5))
par(new=T)
lines(v3,type='l',col='black',ylim=c(1,10))
legend(4,9.8,c("v1","v2","v3"),cex=0.9,col=c("red","blue","black"),lty=1) # 범례 추가
plot ()이 아닌 lines()를 사용해야 y축 부분이 겹쳐서 나오지 않는다
legend( x축 위치, y 축 위치, 내용, cex=글자 크기, col = 색상, lty = 선모양)
서진수.「R라뷰」.더알음
'빅데이터 > R을 이용한 빅데이터분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버스 노선별 이용 승객 현황분석 barplot() in r (0) | 2018.10.02 |
---|---|
연도별 요양 기관별 보험 청구 건수 분석 - plot() in r (0) | 2018.09.12 |
R 그래프 기초 2 - barplot() (1) | 2018.09.10 |
textmining - wordcloud (2) | 2018.09.04 |
R 데이터 형태 ( vector, matrix, array, list, dataframe) (0) | 2018.08.31 |